2024. 4. 9. 11:43
이책은 인간이 느끼는 행복에 대한 가장 오랜동안 ( 1938년부터 현재도 진행중이고 ....관찰대상자의 다음세대로 이어지며 ) 연구하고 있는 내용이기도하고, 무엇보다도 실제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관찰해서 얻어낸 정보라는 점에서 상당히 객관적이고, 설득력있는 인간의 행복에 대한 내용이라는 생각이 든다. 인간이 행복함을 느끼는 순간은 돈이나 명예가 아니라. 자신과 친밀한 관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이 있을때 행복함을 얻는것이라는 결론적인 내용들... 결국 행복한 인생을 만드는것은 내가 나를 둘러싼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가는것이라는 ...
세계 최장 연구 프로젝트, ‘하버드 성인 발달 연구’를 통해 밝혀낸 행복의 비밀은 무엇인가?
2007년에 밀레니얼 세대를 대상으로 가장 중요한 삶의 목표를 물어보는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의 76%는 부자가 되는 게 최우선 목표라고 했고 50%는 유명해지고 싶다고 말했다. 그 후 10여 년이 지나 성인으로 보낸 시간이 늘어난 밀레니얼 세대에게 비슷한 질문을 다시 했다. 그들의 대답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명성에 대한 욕구는 우선순위가 낮아졌다. 하지만, 돈 많이 벌기, 성공적인 경력 쌓기, 빚 없이 살기 같은 것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목표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것들은 세대와 국경을 뛰어넘어 계속 확산되고 있는 공통적이고 실용적인 목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행복한 삶이 완성되는 게 아니라는 것은 다들 알고 있다. 그렇기에 지금도 전 세계에서는 행복이 무엇인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연구 중이다.
지금까지 행해진 행복에 관한 가장 긴 연구는 하버드대에서 현재까지도 진행 중인 ‘성인 발달 연구’이다. 1938년 하버드 의대 성인 발달 연구소는 하버드대 2학년 재학생 268명과 보스턴 최빈곤층 10대 후반 456명을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85년간 그들의 삶을 추적 조사했다. 이 연구는 온갖 역경 속에서도 굳건히 현재까지 진행 중인 연구로 85년 동안 84%의 참가자들이 연구에 지속적으로 참여했고, 이 중 60명은 90세를 넘겼으며, 이들의 자녀 1,305명도 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이렇게 평생에 걸쳐 진행되는 전향적 연구는 매우 드물다. 참가자들이 그만두거나 연구진에게 알리지 않은 채 이름을 바꾸고 이사하는 경우도 있고, 연구 자금이 고갈되거나 연구진이 흥미를 잃기도 한다. 하지만 계속 진화하면서 확장 중인 하버드 성인 발달 연구는 인간의 생애에 대한 가장 길고 심층적인 종단 연구다. 많은 행복 전문가들이 이 진귀한 연구에 주목하고 있고, 이 연구 결과가 책으로 나오기를 기대했다.
이 책은 하버드 성인 발달 연구의 총 4번째 책임자인 로버트 월딩거와 마크 슐츠가 행복에 대한 세상에서 가장 긴 연구인 하버드대 성인 발달 연구를 집대성한 책으로, 85년간 축적된 풍부한 사례와 과학적 연구 성과를 통해 독자들에게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지 알려준다. 하버드 연구를 직접적인 토대로 삼고 전 세계 수천 명이 참여한 다른 수백 가지 과학 연구 결과로 내용을 뒷받침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만드는 결정적 요인은 재산도, 명예도, 학벌도 아니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따로 있음을 방대한 사례와 과학적 통찰로 알려준다.
이 책은 출간되자마자 대니얼 길버트, 앤절라 더크워스 등 수많은 행복 전문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원서가 미국에서 출간되었을 때 읽어보았다는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는 이 책에 대해 “‘행복에 대해 읽어야 할 단 한 권의 책’이라는 수식어가 부담스럽지 않은 책은 없지만, 무모한 용기를 내게 하는 책”이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추천의 글
불멸의 행복 연구
“행복에 관해 읽어야 할 단 한 권의 책.”
이 수식어가 부담스럽지 않은 책은 없다. 아무리 많은 찬사를 받은 책이라 하더라도 모든 사람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단 하나의 책이라는 타이틀을 부여받기는 매우 어렵다. 행복에 관한 백과사전식 지식을 담은 책에서는 선명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렵고, 감성을 자극하는 에세이에서는 과학적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어떤 책은 종교적 색채가 지나치게 강하고, 어떤 책은 진화론에 경도되어 있어서 인간이라는 종 種의 행복에 대해서는 배울 수 있지만, 행복한 삶을 위한 실천적 메시지가 빈약하다.
이 난제 앞에서 무모한 용기를 내게 하는 책이 《세상에서 가장 긴 행복 탐구 보고서》이다. 지극히 주관적인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그 전에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나 하자면, 이 책의 원제인 《The Good Life》와 추천인인 내가 2018년에 쓴 《굿 라이프》의 제목이 똑같다. 어릴 적 헤어진 쌍둥이 형제를 만난 것 같은 희열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단순 희열을 넘어 깊고 강렬한 지적 쾌감을 느끼는 까닭은 두 책 모두 ‘행복’ 대신 ‘굿 라이프’를 제목으로 택한 문제의식 때문이다. 행복이 단순한 감정 이상의 것이라는 것과 진정한 행복에는 순간적인 쾌감만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목적이 강하게 존재한다는 학문적 신념이 두 책에 가득 배어 있다. 우리는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라는 질문보다 더 크고 근본적인 질문인 ‘무엇이 우리의 삶을 좋은 삶으로 만드는가’에 집중하고 있다.
동일한 제목의 책을 썼다는 이유 말고도 내가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는 넘쳐난다.
우선, 이 책은 글자 그대로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연구의 보고서이기 때문이다. 기록이란 깨지기 위해 존재한다는 말이 있지만, 하버드 성인 발달 연구는 절대로 깨질 수 없는 불멸 그 자체이다. 1938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85년간 계속되고 있는 이 연구는, 애초의 참가자들만이 아니라 그들의 사망 이후에는 그들의 배우자, 자녀 그리고 손자, 손녀까지 3대의 삶을 들여다보고 있는 세계 최장수 행복 종단 연구이다. 행복을 연구하는 모든 학자가 이 책에 무한한 경의를 표하는 이유이다.
둘째, 이 책은 “무엇이 좋은 삶인가?”라는 질문에 일말의 주저함도 없이 답 하나를 선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친밀한 인간관계의 빈도와 질 the frequency and the quality of our contact with other people”
행복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의 존재를 인정하면서도, 친밀한 인간관계가 그 중 으뜸이라는 점을 집요할 정도로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주장의 일관성과 집요함이 증거의 엄밀성과 결합할 때, 우리는 기꺼이 설득당한다. 이 책이 그렇다. 행복에 관한 담론들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길을 잃어버린 우리에게 OMTM one metric that matters (가장 중요한 하나의 지표)을 제공하고 있다. 수입이 얼마인지, 직업이 무엇인지, 아파트가 몇 평인지 등과 같은 지표들도 신경 써야겠지만, 인생 최고의 지표는 단연 ‘관계’이다. 이 책만큼 이 점을 집요하게 제시하고 있는 책도 드물다.
셋째, 저자들은 친밀한 인간관계를 가족과 친구로만 국한하지 않고, 약한 유대관계 weak ties와 일터의 동료에까지 확장하여 행복을 보편적 인류애로 격상시키고 있다. 끈끈한 관계로 맺어진 사람들 strong ties은 아니지만 커피숍의 바리스타나 옆자리 승객과 같은 낯선 이들! 이들과의 소소한 대화가 뜻밖에도 행복에 필수적임을 보여줌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삶이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삶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이타적인 삶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어서 너무나 소중한 책이다.
넷째, 《세상에서 가장 긴 행복 탐구 보고서》는 학술적이면서 동시에 실용적이다. 건강하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위해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팁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행복에 관한 가장 근본적인 메시지를 가장 실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풀어내고 있어서, 한마디로 깊이와 대중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메시지는 분명하다.
MRI 장치 속에서 혹시나 있을지 모르는 전기 충격을 기다리는 실험 참가자의 손을 사랑하는 사람이 잡아주면 뇌 활동이 변한다. 누군가 손을 잡아주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이들이 경험하는 불안과 고통도 줄어든다. 손을 맞잡은 두 사람의 뇌가 “I am You. You are Me.”라는 시그널을 서로에게 보내는 것이다. 인간이 손을 잡는 이유이다. 서로의 행복을 위해 서로가 필요한 이유이다.
“지치고 힘들 때, 손을 잡아줄 사람이 있는가?”
이 책이 우리에게 던지고 있는 인생 최고의 질문이다.
최인철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센터장
'샘터 독서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 읽는법 (1) | 2024.06.23 |
---|---|
그랜드 퀘스트 2024 (0) | 2024.06.23 |
내 장은 왜 우울할까 ? (0) | 2024.06.23 |
바로 매출이 오르는 스마트 스토어 (0) | 2024.06.07 |
마케팅 설계자 (2) | 2024.06.04 |